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2)
프레임 (최인철) 1. “지혜는 한계를 인정하는 것이다.” 심리학은 우리 마음이 얼마나 많은 착각과 오류, 오만과 편견, 실수와 오해로 가득 차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동시에 이런 허점들이 프레임이라고 하는 마음의 창에 의해서 생겨남을 증명하고 있다. 건물 어느 곳에 창을 내더라도 그 창만큼의 세상을 보게 되듯이, 우리도 프레임이라는 마음의 창을 통해서 보게 되는 세상만을 볼 뿐이다. 우리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프레임을 통해서 채색되고 왜곡된 세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프레임으로 인한 이러한 마음의 한계에 직면할 때 경험하게 되는 절대 겸손, 나는 이것이 지혜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2.프레임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이다.어떤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세상을 향..
인간관계론 (데일 카네기) 1.반발심을 일으키지 않고 다른 사람의 마음을 바꾸게 하려면, 진심으로 칭찬과 감사의 말부터 시작하라.자신의 장점에 대한 칭찬을 받은 뒤에는 다소 유쾌하지 못한 말을 들었다 하더라도 그다지 마음에 걸리지 않는 법이다.이발사는 면도를 하기에 앞서 비누거품을 칠한다. "이 사람아, 정말 훌륭한 연설문일세. 굉장한 연설문이이야! 이런 연설문은 자네가 아니고서는 아무도 쓸 수 없을 걸세. 그런데 말일세, 옳은 말은 해야 되는 법이지만 이번에도 과연 그렇게 해서 좋을 것인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자네 입장에서야 괜찮은 것일지 몰라도 나는 당의 입장에서 이것을 고려해 봐야 하니까 말일세. 그러니 집에 돌아가서, 이번에는 내가 일러 주는 방향으로 한 번 다시 써 보고 초안을 내게 보내주게."  2."이 ..
기획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아타카 가즈토) 1.꾸준히 가치 있는 일을 하면서 높은 질을 유지할 수 있다면 대충 일해도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 다른 사람에게 물어봐서 해결되는 일이면 물어보면 되고, 지금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할 수 있는 일이면 그렇게 하면 된다. 프로가 일하는 방식은 노동 시간이 길수록 돈을 많이 받는 래이버러나 샐러리맨식 발상과는 극과 극이다. 일하는 시간이 아니라 얼마나 변화를 초래하는지에 따라 대가를 받고 평가받는다. 혹은 얼마나 의미 있는 아웃풋을 창출하는지에 따라 존재 의의가 결정된다. 이런 전문가적인 삶의 방식으로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높은 생산성을 창출하기 위한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2.논리에만 의지하면서 단락적이고 표층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위험하다. 이 세상에는 ‘로지컬 싱킹logical thinking’, ‘..